TIL152 220626 버블정렬을 코드로 작성할 때 테스트코드를 작성하면서 해봤는데 처음에는 제대로 정렬이 되지 않았다. 왜 그런지에 대한 생각을 계속 하고 수정을 하면서 드디어 버블 정렬을 코드로 구현해볼 수 있었고 버블정렬에 대해서 이해도 다시 제대로 된 것 같다. 이어서 코테도 하나 풀었다. 그런데 마침 버블정렬을 사용해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였다. 관련이 있는 문제인지 모르고 선택한건데 신기했다. 그래서 더 재밌게 풀 수 있었다. 그런데 버블정렬이 너무 효율성이 떨어져서 시간초과가 떴다.. 그래서 다른 방법을 생각했고 sort()를 사용해서 풀었는데 코드도 간단했고 다양한 방법으로 문제를 풀어서 재밌었다. 프로젝트도 조금 했는데 완료된 루틴들에 대해서 로컬스토리지에 저장을 안해둬서 새로고침하면 체크 한 부분들이 풀리는 .. 2022. 6. 26. 220624 어제 버블 정렬에 대한 독서 스터디가 있었고 이를 코드로 구현해보는것이 오늘까지의 숙제(?)였다. 나름 했다고 해봤는데 그냥 검색에 대한 코드를 짠거였다. 다른 사람들이 작성한 코드를 봤는데 이해가 안됐다. 어제 스터디를 했을때는 버블 정렬에 대해서 완벽하게 이해했다고 생각했는데 아니었다. 그래서 다시 혼자 버블 정렬을 구현해보려고 했는데 잘 안됐다. 게다가 코테도 못풀어서 자괴감이 들었고 의욕이 상실해서 아무것도 할 수가 없었다. 리프레쉬하는 시간을 가져야겠다. 2022. 6. 24. 220623 프로젝트 pr 올리려고 git 사용법을 찾아보느라 프로젝트 진도를 많이 못나갔다. main에서 브랜치 따는것도 처음에 이해가 안돼서 시간이 좀 걸렸다. 그래도 구글링하고 사람들한테 물어가면서 해결할 수 있었다. 기존 프로젝트 사용에서 문제가 있었던 부분들을 수정하고 다시 배포를 했다. 사람들한테 보여주고나니까 더 빨리 프로젝트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1단계 남은 코테 문제들이 너무 단순한데 이 문제들을 다 풀고 2단계로 가야할지 아니면 그냥 2단계 문제들을 바로 풀지 고민이다. 2022. 6. 23. 220622 프로젝트 진행중에 너무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는데, 우선순위를 정해서 해결하기로 했다. 우선순위를 정하고 가장 먼저 해결해야하는 일을 작은단위로 쪼갰다. 이렇게 하니까 조금씩 해결되는게 신기했다. 한번에 완성된것을 내놓으려고하다보니까 제대로 구현하는게 힘들었는데 이렇게 하는게 훨씬 좋은 방법같다. 로컬스토리지 삭제하는거 removeItem으로만 해결하는줄 알았는데 setItem써서 새로 루틴 리스트 업데이트 해주는 방법으로 해결했다. 루틴 입력하는 부분인 input text 길이 제한을 두라는 의견을 받았는데 이 부분도 해결을 했다. 그리고 자잘하게 발생했던 문제들을 해결했는데 재밌었다. 그리고 추가되는 루틴에 대한 id 값을 변경하다가 문제가 발생했었는데 현재 문제 -> 생성 모달을 열면 이전에 입력한 .. 2022. 6. 22. 이전 1 ··· 23 24 25 26 27 28 29 ··· 3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