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진행중에 너무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는데, 우선순위를 정해서 해결하기로 했다.
우선순위를 정하고 가장 먼저 해결해야하는 일을 작은단위로 쪼갰다.
이렇게 하니까 조금씩 해결되는게 신기했다.
한번에 완성된것을 내놓으려고하다보니까 제대로 구현하는게 힘들었는데 이렇게 하는게 훨씬 좋은 방법같다.
로컬스토리지 삭제하는거 removeItem으로만 해결하는줄 알았는데
setItem써서 새로 루틴 리스트 업데이트 해주는 방법으로 해결했다.
루틴 입력하는 부분인 input text 길이 제한을 두라는 의견을 받았는데 이 부분도 해결을 했다.
그리고 자잘하게 발생했던 문제들을 해결했는데 재밌었다.
그리고 추가되는 루틴에 대한 id 값을 변경하다가 문제가 발생했었는데
현재 문제 -> 생성 모달을 열면 이전에 입력한 상태가 그대로 남아있음.
2가지 해결 방법
1. 자식컴포넌트를 처음 한번만 만들고, 특정값(Open)이 변경되는지에 따라 생성할 루틴의정보를 useEffect 내에서 초기화해준다.
장점: 컴포넌트 생성, 파괴가 한번만 발생함. 그리는데 비용이 적다. 단점: 매번 open 값이 변경될때마다 초기화 해줘야함
2. Open 여부에따라 컴포넌트를 그려준다. 이렇게하면 매번 생성할 루틴의 정보를 초기화해주지 않아도, 최초 컴포넌트 그릴때 useState를 통해서 상태 만들때 상태값 초기화가됨.
장점: 매번 초기화해주지 않아도됨. 장점: 모달 닫고 열때마다 컴포넌트 생성, 파괴가 일어남
두번째 방법으로 해결해주었다.
이제 이슈들을 해결했으니 추가 기능을 구현해야겠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