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51

하루3분 네트워크 교실: 5장 제36회 4계층의 역할과 개요 4계층의 역할 - 에러복구 :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 다시 보냄으로써 에러를 없었던 것으로 한다. - 흐름제어 : 도달했을 때, 대기장소에 데이터가 넘치는 것을 방지한다. - 신뢰성이 높은 전송을 수행 애플리케이션 식별 - 어느 애플리케이션이 송수신할지를 결정하는 번호 TCP와 UDP - 4계층의 프로토콜로써 둘 중 한개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제37회 커넥션과 세그먼트 커넥션 - 애플리케이션 간의 송수신을 하는 데이터의 길 - 데이터 전송을 시작하기 전에 미리 확인을 주고 받아 두고 상대에게 확실하게 전달한 것을 확인 - TCP헤더 : 포트번호, 시퀀스번호, 플래그 등 약 20옥텟 커넥션의 확립 - 가상의 통신로를 만들어 내는 것 - 통신로를 확보하기 위해 상대.. 2022. 6. 7.
하루3분 네트워크 교실: 4장 제28회 주소와 경로 IP주소와 MAC주소란? - IP 주소 : 수신터의 컴퓨터를 결정한다 - MAC 주소 : 같은 네트워크 내에서의 수신처를 결정 경로 - 홉바이홉 : 홉이란 라우터를 가리키는 용어인데 다음 수신처를 결정하고 이것이 연결되어 경로가 된다 - 복수의 라우터가 다음 수신처를 기리키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전체의 경로가 만들어져 간다. - 라우터가 없으면 다른 네트워크에 데이터그램읓 보낼 수 없다. - 컴퓨터가 송신하는 규칙 : 다른 네트워크 수신이면 라우터(디폴트 게이트웨이)로 동일 네트워크 수신이면 직접 통신한다. 라우터(디폴트 게이트웨이)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 동일 네트워크 수신이면 수신처에 직접 송신한다. - 다른 네트워크 수신이면 디폴트 게이트웨이에 설정된 라우터로 송신한다. 라우.. 2022. 6. 6.
220602 리액트 튜토리얼을 해봤다. 프로젝트를 진행하다가 단순하고 쉬운 기능같은데 구현하는게 잘 안되고 다른분들한테 물어봐도 이해가 잘 안됐다. 리액트 사용법을 다시 익히라는 충고를 듣고는 리액트 공식문서를 봤다. 쉬운것도 못하는것 같아서 답답했다. 프로젝트를 너무 오랜시간 끌고 있는데 프로젝트 완성을 위해서 앞으로 어떻게 해야될지 모르겠어서 혼란스럽다. 코테 문제도 못풀었다.. 코테 문제를 이해하는데에도 시간이 좀 걸렸고 계획을 세우는데에도 시간이 걸렸다.. 그래도 계획은 세웠는데 계획을 실현시키지 못하겠어서 코드를 작성했다가 다시 다 지우고 해봐도 어떻게 해결해야할지 감이 오질 않아서 짜증났다ㅜ 다시 처음으로 돌아간 기분이다. 뭘해야될지 모르겠고 갑갑하다~ 일단 내일 다시 도전해봐야겠다 2022. 6. 3.
220601 6월의 시작 내일있을 독서 스터디를 준비하기 위해서 네트워크 교실 3장을 읽었다. 이번에는 읽으면서 블로그에 정리를 했고 세분화된 질문을 정하고 최대한 책을 보지 않고 질문에 대한 답을 생각해보았다. 그리고 한 회를 관통하는 질문 하나도 만들었다. 그리고 전반적인 내용을 아우르는 답변을 만들기 위해서 내용의 흐름을 개념 단위로 생각하고 그 개념들을 설명하면서 답변을 완성해가는 방법으로 독서를 해보았다. 항상 속독을 추구하는 나로써는,, 봤던 페이지를 다시 읽고 천천히 읽는것이 진도를 빨리 나가지 못하는것같아서 답답했다. 그런데 이렇게 시간이 좀 걸리더라도 정확하게 내용을 파악하면서 읽어가는 것이 이해도 더 쉽게 되고 기억에 더 오래 남는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앞으로는 여유를 가지고 책을 읽어나가는 습.. 2022. 6. 2.
하루3분 네트워크 교실: 3장 제19회 3계층의 역할과 개요 🦄 3계층이란? 세먼트 간에서의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인터넷 작업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는데 인터넷작업이란 네트워크와 네트워크를 연결해서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컴퓨터끼리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네트워크는 라우터와 라우터로 분배된 컴퓨터 그룹이다. 3계층이란? - 세그먼트 간에서의 데이터 송수신하는것 - 인터넷 작업을 수행한다. 네트워크란? - 라우터와 라우터로 분배된 컴퓨터 그룹 인터넷 작업이란? - 네트워크와 네트워크를 연결해서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컴퓨터끼리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한다. 제20회 인터넷 프로토콜 🦄 인터넷 프로토콜이란? 인터넷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어드레스를 어떻게 써서 어떻게 배정할 건지에 대한 위치 정보를 가지고 있어서 수신처를 찾을.. 2022. 6. 2.
220531 네크워크 교실 책 스터디가 있었다. 아직 네트워크가 어렵게 느껴지지만 예전에 살짝 공부해본 기억이 되살아났다. 그때는 정말 어렵고 재미없다고 생각했었는데 스터디를 진행하면서 배웠던 내용을 다시 공부하게 되니까 익숙하다는 느낌이 났다. 그리고 좀 더 제대로 공부할걸.. 하는 아쉬움도 있었다. 그래서 이번에는 제대로 해보고 싶기도하고 한번 들어본 용어들이라 그런지 급 흥미가 생겨서 어제 책을 미리 읽었고 오늘 오전 내내 블로그에 내용을 정리하면서 질문을 미리 만들어보고 답변을 적었다.(이때 답변을 그냥 책에서 보고 적었다,,,). 내용 정리도하고 나름 질문도 만들도 답변을 적었다고 내용을 다 이해하고 아는줄 알았다,, 그런데 막상 스터디를 해보니까 질문에 대답을 하지 못했고 이미 읽고 정리한 내용임에도 불구.. 2022. 5.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