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451

220629 독서 스터디에서 해시테이블에 대한 내용을 다뤘다. 연습문제가 다 직접 함수를 구현해보는거라 어려워서 한문제밖에 못풀어갔었는데, 스터디 후에 다시 풀어보니까 풀려서 기분이 좋았다. 스터디를 하니까 확실히 개념 정립도 잘되고 이해가 더 잘되는 것 같다. 스터디가 끝날무렵 해시 함수를 작성하라는 과제를 받았는데 어떻게 구현해야할지 잘 생각이 나지 않았다. 알파벳이랑 숫자랑 키값 먼저 정하긴했는데 그 뒤로 어떻게 해야할지 감이 오지 않는다. 프로젝트에서 루틴 리스트 가운데 정렬하면 이상하게 정렬되고 그랬는데 루틴리스트를 감싸고 있는 태그에서 width: fit-content를 해주니까 원하는대로 정렬이 되었다. 이렇게 또 하나를 해결하니까 너무 재밌었다. -> 2022. 6. 29.
220628 어제 삽입정렬에 대해서 독서 스터디를 진행했고 오늘을 이 삽입정렬을 코드로 구현해보는 과제가 있었다. 이를 활용해서 프로젝트의 루틴리스트를 시간순으로 정렬 시킬 수 있었다. 그리고 sort()를 사용해보기도 했는데 ab 정렬인 경우에 -1 리턴하고 ba 정렬인 경우에 1을 리턴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를 사용해서 시간 순서대로 정렬 기능 구현을 할 수 있었다. 이제 프로젝트가 점점 익숙해져가고 기능 업그레이드 시키는게 너무 재밌다. 얼른 더 좋은 기능을 구현해야겠다. 2022. 6. 28.
71. 오픈채팅방 Javascript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888 코딩테스트 연습 - 오픈채팅방 오픈채팅방 카카오톡 오픈채팅방에서는 친구가 아닌 사람들과 대화를 할 수 있는데, 본래 닉네임이 아닌 가상의 닉네임을 사용하여 채팅방에 들어갈 수 있다. 신입사원인 김크루는 카카오톡 오 programmers.co.kr 1. 문제에 대한 이해 우리가 풀어야 할 문제는 무엇인가? - 채팅방을 들어오거나 나가거나 닉네임을 변경하는 모든 기록이 처리된 후, 최종적으로 방을 개설한 사람이 보게 되는 메시지를 문자열 배열 형태로 return 주어진 자료는 무엇인가? - 채팅방에 들어오고 나가거나, 닉네임을 변경한 기록이 담긴 문자열 배열 record가 매개변수로 주어진다. 조건은 무엇인.. 2022. 6. 28.
220627 프로젝트 하다가 새로 알게 된 지식(?)들 정리를 좀 했다. useMemo()랑 로컬스토리지에 대해서 알게 되었고 이를 프로젝트에 사용했는데 이 부분을 정리를 했다. 아무래도 한번 정리를 하니까 어떻게 사용했었는지에 대해서 다시 회고할 수 있었다. 앞으로 잘 정리하는 습관을 들여야겠다. 선택 정렬에 대해서 스터디를 했고 이번에는 미리 공책에 시뮬레이션까지 돌리고 가서 그런지 스터디 따라가는데 벅차지 않았다. 앞으로 책을 읽기만하고 이해했다고 생각하지 않고 머리속으로라도 다시 되새겨봐야겠다. 깃 pr을 올리면 코드리뷰를 해준다고 해서 깃 브랜치 따는 방법들을 좀 찾아봤다. 아직 깃이 어렵지만 나중에 현업에서 제대로 사용할 기회가 생긴다고 해서 기본적인 것만 알고 지나가야겠다. 신입 개발자 포지션에 지원을 .. 2022. 6. 27.
70. 카펫 Javascript 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2842 코딩테스트 연습 - 카펫 Leo는 카펫을 사러 갔다가 아래 그림과 같이 중앙에는 노란색으로 칠해져 있고 테두리 1줄은 갈색으로 칠해져 있는 격자 모양 카펫을 봤습니다. Leo는 집으로 돌아와서 아까 본 카펫의 노란색과 programmers.co.kr 1. 문제에 대한 이해 우리가 풀어야 할 문제는 무엇인가? - 카펫의 가로, 세로 크기를 순서대로 배열에 담아 return 주어진 자료는 무엇인가? - 본 카펫에서 갈색 격자의 수 brown - 노란색 격자의 수 yellow 조건은 무엇인가? - 중앙에는 노란색으로 칠해져 있고 테두리 1줄은 갈색으로 칠해져 있는 격자 모양 카펫 - 갈색 격자의 수 brown.. 2022. 6. 27.
React : useMemo() useMemo를 사용하게되면 변경된 부분에 대해서만 새로 업데이트를 해준다. 그래서 프로젝트에 적용을 해보았다. 구현하고자 하는 것 루틴을 완료하면 체크버튼을 눌러서 루틴이 완료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해결 const countCompletedRoutines = useMemo(() => { const countRoutines = routines.filter(routine => routine.completed === true); return countRoutines.length; }, [routines]); 이렇게 useMemo를 사용해서 새로운 함수를 만들어주었다. routine이 completed된 것들의 길이를 구하는 건데 루틴 completed가 false에서 true로 바뀌는 경우, 이 변경된 부분.. 2022. 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