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6회 4계층의 역할과 개요
4계층의 역할
- 에러복구 : 도달하지 않은 경우에 다시 보냄으로써 에러를 없었던 것으로 한다.
- 흐름제어 : 도달했을 때, 대기장소에 데이터가 넘치는 것을 방지한다.
- 신뢰성이 높은 전송을 수행
애플리케이션 식별
- 어느 애플리케이션이 송수신할지를 결정하는 번호
TCP와 UDP
- 4계층의 프로토콜로써 둘 중 한개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제37회 커넥션과 세그먼트
커넥션
- 애플리케이션 간의 송수신을 하는 데이터의 길
- 데이터 전송을 시작하기 전에 미리 확인을 주고 받아 두고 상대에게 확실하게 전달한 것을 확인
- TCP헤더 : 포트번호, 시퀀스번호, 플래그 등 약 20옥텟
커넥션의 확립
- 가상의 통신로를 만들어 내는 것
- 통신로를 확보하기 위해 상대에게 데이터 전송의 허가 요청을 보냄 -> 그것에 대한 허가를 송신처에 알림 -> 상대에게 바르게 전달된 것을 확인
- 수신처 측이 송신처에게 데이터 전송 허가 요청을 보냄 -> 쌍방향의 통로가 확보
- 쓰리웨이 핸드쉐이크 : 3번의 데이터 송수신으로 쌍방향의 통신로를 확립
세그먼트 분할
- 시퀀스 번호 : TCP는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세그먼트로 캡슐화하는데 이 때, 한개의 데이터를 MSS로 분할하는데 한 개의 데이터가 복수의 세그먼트가 된다. 그리고 각각의 세그먼트에 번호를 부여
제38회 윈도우 제어
에러 복구
- 확인 응답 : 세그먼트를 수신하면 수신한 것을 송신처에게 전달
- 시퀀스 번호 : 보내는 데이터의 앞 부분에 있는 옥텟 번호
- 확인응답 번호 : 다음에 받고 싶은 데이터의 선두 옥텟 번호
- RTT : 지금까지 보낸 데이터에 대해 확인응답이 돌아오기까지 걸린 시간으로 계산
- 확인응답에 따라 재전송을 수행하여 에러를 복구한다
윈도우 제어
- 버퍼 사이즈를 전함으로써 송신할 수 있는 데이터 양을 알려준다.
- 윈도우 사이즈 : 어느 정도 버퍼량을 가지고 있는지는 알려주는것
제39회 포트 번호
애플리케이션 간 통신
- 포트번호 : 각각의 데이터가 어느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 송신 되었는지 어느 애플리케이션 수신인지를 결정
- 포트 번호로 데이터를 보낼 애플리케이션을 특정
- 수신처 포트 번호를 모르면 데이터를 보낼 수 없다.
- 웰 노운 포트 : 서비스를 제공하고 싶은 애플리케이션이 사용하는 1~1023번까지의 포트
제40회 UDP
TCP의 단점
- 확인 응담을 기다리는 시간이 전송 효율의 저하를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
아무것도 하지 않는 UDP
- UDP 헤더 : 포트 번호 이외에 별다른 항목이 존재하지 않는다
- UDP는 고속이다
UDP의 용도
- 고속성이나 실시간 송수신이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 (VoIP, 동영상 스트리밍 배포 등)
- 브로드캐스트가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
- 전송 효율이 저하되지 않는다. 브로드캐스트를 사용할 수 있다.
제41회 네트워크 주소 변환
사설 IP 주소
- 인터넷에 접속하지 않는 네트워크를 위해 사용할 수 있는 IP 주소
네트워크 주소 변환 NAT
- 사설 IP 주소를 글로벌 IP 주소로 변환한다.
- 단점 : 글로벌 IP 주소의 수만큼만 동시 접속할 수 있다.
- 변환되는 주소는 유일해야한다
제42회 NAPT
NAPT
- 하나의 글로벌 IP 주소로 복수의 컴퓨터를 접속 가능하게 한다.
- 포트 번호도 변환함으로써 복수의 컴퓨터와 동시 접속이 가능해진다.
- 장점 : NAT 테이블에 없는 변환은 변환되지 않기 때문에 내부 네트워크에 흐르지 않는다.
정적 NAPT
- LAN 내부에서 외부로 공개하고 싶은 서버가 있을 경우 NAPT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지 않은것은 LAN 내부에 들어오지 못한다. 그래서 NAPT 테이블에 미리 변환을 저장시켜주면 되는데 수동으로 변환을 입력해둔다
NAPT의 단점
- 데이터 부분에 쓰여져 있는 주소는 변환되지 않기 때문에 FTP는 연결되지 않게 된다. 그래서 NAPT를 수행하는 기기가 개별적으로 대응할 수 밖에 없다.
제43회 5~7계층
5계층: 세션 계층
- 애플리케이션 간의 의논의 관리
- 세션 : 애플리케이션 간의 말을 대화로써 관리
- 다이얼로그 제어 : 데이터의 송수신을 세션으로 성립하도록 관리
6계층:표현계층
- 컴퓨터 간의 데이터 형식의 차이를 변환해서 하드웨어랑 OS에 따른 차이를 없앤 데이터 교환이 가능
- 압축이나 암호화를 수행
- 애플리케이션과는 동떨어진 데이터 형식의 전송을 위한 변환
7계층: 응용계층
-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
- 목적에 따른 프로토콜이 준비되어 있다
제44회 OSI 참조 모델과 요약
OSI 참조 모델
- 7계층으로 나뉘어 있고 각각의 계층은 독립되어 있다.
각 계층의 역할
- 각 계층은 그 하위 계층의 상황을 전혀 생각하지 않는다.
- 5~7계층 : 서비스, 데이터 형식, 세션 관리
- 7계층 : 네트워크 서비스 실시
- 6계층 : 데이터 형식을 변환
- 5계층 : 세션을 관리
- 4계층 : 애플리케이션의 식별, 신뢰성 유무를 결정한다
- 3계층 : 어드레싱과 라우팅에 의해 인터넷 작업을 수행한다.
- 1~2계층 : 케이블과 신호에 의한 데이터 전달과 네트워크 내의 기기에 의한 데이터 전송
- 2계층 : 1계층의 기능에서의 전기적인 데이터를 사용해서 서로 다른 시시의 데이터 송수신을 3계층에 제공한다.
- 1계층 : 전기와 신호를 담당한다. 즉, 케이블과 신호를 2계층에 제공
'La Lectur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그림으로 배우는 프로그래밍 구조 chapter4 (0) | 2022.06.15 |
---|---|
그림으로 배우는 프로그래밍 구조 chapter2,3 (0) | 2022.06.15 |
하루3분 네트워크 교실: 4장 (0) | 2022.06.06 |
하루3분 네트워크 교실: 3장 (0) | 2022.06.02 |
하루3분 네트워크 교실: 2장 (0) | 2022.05.31 |
댓글